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사례와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로의 자세

by 짱바람야 2023. 2. 6.

※과제물유형: 공통형
※과제명:
1. 논리 모델의 구성요소와 그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고, 코로나 19시대에 아동, 노인, 장애인, 지역사회 등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논리 모델을 적용하여,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사례(1가지)를 제시하시오(35점).
2. 우리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왜 해야 하는지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을 설명하고, 졸업 후 프로그램 전문가로서 어떤 역할과 자세로 임할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35점).
- 이하 과제 및 답안 작성

1.

논리 모델(logic model)은 전체와 개체 사이의 요소간 관계를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원칙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논리 모델은 종종 지역사회와 사람들에게 기대하는 결과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활동을 명시적이고 시각적으로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논리 모델의 구성요소는 단계적으로 "만일(if) ~ 하면, ~ (then) 것이다" 라는 논리체계로 연결됨으로써 클라이언트 집단의 문제나 욕구확인이 가능하다. 투입요소의 내용 구성 및 활동내용과 과정이 명확해야 하며, 최종산출과 성과지표의 평가요소를 구체화할 수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기관이 활용 가능한 자원을 투입하여 산출이 나오도록 개입하고 성과와 연결시켜 나갈 수 있다. 과정으로는 문제 상황 - 투입 - 활동(전환) - 산출 - 성과 - 영향의 구성요소로 이루어 진다.

 

문제상황은 현재 지속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리소스와 의도된 활동으로 변화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며, 프로그램 개빕의 필요성이나 동기를 설명하는 과정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할 이유와 지역사회의 문제나 욕구가 있는 상태이다. 현재의 문제상황을 기술하고 개입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문제원인과 문제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증상들과 시급성에 대한 객관적인 상황을 기술한다.

 

투입은 전문사회복지사 기관에서 제공하는 원재료와 요소들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의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적, 재정적 투입자원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직원 및 직원의 근무시간, 자원봉사자 및 활동시간, 시설, 장비, 서비스 기술, 예산 등이며, , 규제, 기금을 받기 위한 요구조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활동(전환)은 프로그램이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투입물을 가지고 행하는 개입활동, 프로그램 구현의 의도적인 프로세스, 도구, 이벤트, 기술 및 조치 등의 개입은 의미한다. 이러한 개입의 의도한 변화나 결과를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투입물을 기초로 이루어진 구체적 활동서비스 전달과정이기도 하다. 투입된 자원들이 클리이언트들에게 사용되는 과정, 즉 활동 인터뷰, 상담, 시설치료, 사례관리, 교육, 정보 의뢰 서비스 등 문제해결을 위한 실천과정을 의미한다.

 

산출물은 프로그램 활동의 직접직인 산물이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서비스 유형, 수준 및 목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참여자 체계에 투입된 인적, 물적 자료가 활동과정을 거쳐 나오는 모든 산출물을 의미하며, 교육한 시간, 실시한 상담회기, 서비스에 참여한 프로그램 참여자수, 가정방문 회수 등이 포함된다. 의도한 대로 적절한 수준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제공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의 양적 크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성화는 프로그램 산출물에 의한 프로그램 활동의 결과로서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참여자 집단에 발생하게 된 혜택이나 변화결과의 정도를 말한다. 즉 행동, 기술, 지식, 태도, 가치, 상활 또는 외부요인들과 관련된 것으로 프로그램 개입 후에 달라진 변화의 결과이다. 예를 들면 노숙인의 수 감소, 기술 습득, 행동변화, 환경의 개선 등이다.

 

논리 모델의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한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저소득 청소년 온라인 학습 멘토링 운영 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사회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새로운 복지욕구가 출현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이 사회복지 실천 현상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하는 필요성과 중요성은 바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무성이다.

책무성은 사회복지행정의 핵심적인 가치이자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방자치단체, 기업복지재단 등에서 프로그램 공모를 통해 지원을 결정함에 따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이 프로그램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하는 것은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이 전문성을 점차 확보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적절한 책무성이 부가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책무성은 책임성 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사회가 사회복지조직에 부여한 임무, 즉 조직의 고유목표를 완수하는 것과 관련된다. 책임성이 과업의 수행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라면, 책무성은 그 수행의 정당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책무성은 조직목표 달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사회복지조직의 비효율성, 약한 경쟁력, 도덕적 해이, 공금 유용 등의 책무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 책무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정적인 차원에서 수행성과 법규의 준수, 지원인 자질 등에 대한 명확한 통제와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효과성, 효율성 제고의 압력과 더불어 사회복지 실천 현장으로 부터 전문성 제고를 위한 내부적 압력도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졸업 후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문가로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무성을 다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 문제와 프로그램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변호사가 법체계를 이해해야 하듯이, 사회문제와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이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토대인 사회복지 실천의 가치, 목표, 지식, 기술, 환경 등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개입 및 활동의 바탕을 잘 인식해야겠으며, 이것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의 성격과 방향을 정당화시켜주는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정무성(201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정민사
  • 지은구(2005),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 최미영외(202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방송통신대
 

댓글